2018. 1. 18. 17:10ㆍ살다보니 이런일이/시(詩)를 위하여
처용단장(處容斷章)
- 제1부(第一部) -
【시 전문】 - 김춘수(金春洙)
1의 1
바다가 왼종일
새앙쥐 같은 눈을 뜨고 있었다.
이따금
바람은 한려수도에서 불어오고
느릅나무 어린 잎들이
가늘게 몸을 흔들곤 하였다.
날이 저물자
내 근골(筋骨)과 근골 사이
홈을 파고
거머리가 우는 소리를 나는 들었다.
베꼬니아의
붉고 붉은 꽃잎이 지고 있었다.
그런가 하면 다시 또 아침이 오고
바다가 또 한 번
새앙쥐 같은 눈을 뜨고 있었다.
뚝, 뚝, 뚝, 천(阡)의 사과알이
하늘로 깊숙히 떨어지고 있었다.
가을이 가고 또 밤이 와서
잠자는 내 어깨 위
그 해의 새눈이 내리고 있었다.
어둠의 한쪽이 조금 열리고
개동백의 붉은 열매가 익고 있었다.
잠을 자면서도 나는
내리는 그
희디흰 눈발을 보고 있었다.
1의 2
삼월(三月)에도 눈이 오고 있었다.
눈은
라일락의 새순을 적시고
피어나는 산다화(山茶花)를 적시고 있었다.
미처 벗지 못한 겨울 털옷 속의
일찍 눈을 뜨는 남(南)쪽 바다,
그 날 밤 잠들기 전에
물개의 수컷 우는 소리를 나는 들었다.
삼월(三月)에 오는 눈은 송이가 크고,
깊은 수렁에서처럼
피어나는 산다화(山茶花)의
보얀 목덜미를 적시고 있었다.
1의 3
벽(壁)이 걸어오고 있었다.
늙은 홰나무가 걸어오고 있었다.
한밤에 눈을 뜨고 보면
호주(濠洲) 선교사(宣敎師)네 집
회랑(廻廊)의 벽(壁)에 걸린 청동시계(靑銅時計)가
겨울도 다 갔는데
검고 긴 망또를 입고 걸어오고 있었다.
내 곁에는
바다가 잠을 자고 있었다.
잠자는 바다를 보면
바다는 또 제 품에
숭어새끼를 한 마리 잠재우고 있었다.
다시 또 잠을 자기 위하여 나는
검고 긴
한밤의 망또 속으로 들어가곤 하였다.
바다를 품에 안고
한 마리 숭어새끼와 함께 나는
다시 또 잠이 들곤 하였다.
호주(濠洲) 선교사(宣敎師)네 집에는
호주(濠洲)에서 가지고 온 해와 바람이
따로 또 있었다.
탱자나무 울 사이로
겨울에 죽두화가 피어 있었다.
주(主)님 생일(生日)날 밤에는
눈이 내리고
내 눈썹과 눈썹 사이 보이지 않는 하늘을
나비가 날고 있었다.
한 마리 두 마리,
1의 4
눈보다도 먼저
겨울에 비가 오고 있었다.
바다는 가라앉고
바다가 있던 자리에
군함(軍艦)이 한 척 닻을 내리고 있었다.
여름에 본 물새는
죽어 있었다.
물새는 죽은 다음에도 울고 있었다.
한결 어른이 된 소리로 울고 있었다.
눈보다도 먼저
겨울에 비가 오고 있었다.
바다는 가라앉고
바다가 없는 해안선(海岸線)을
한 사나이가 이리로 오고 있었다.
한쪽 손에 죽은 바다를 들고 있었다.
1의 5
아침에 내린
복동(福童)이의 눈과 수동(壽童)이의 눈은
두 마리의 금송아지가 되어
하늘로 갔다가
해 질 무렵
저희 아버지의 외발 달구지에 실려
금간 쇠방울 소리를 내며
돌아오곤 하였다.
한밤에 내린
복동(福童)이의 눈과 수동(壽童)이의 눈은 또
잠자는 내 닫힌 눈꺼풀을
더운 물로 적시고 또 적시다가
동이 트기 전
저희 아버지의 외발 달구지에 실려
금간 쇠방울 소리를 내며
돌아가곤 하였다.
눈이 내리고 있었다.
눈은 아침을 뭉개고
바다를 뭉개고 있었다.
먼저 핀 산다화(山茶花) 한 송이가
시들고 있었다.
눈이 내리고 있었다.
아이들이 서넛 둘러앉아
불을 지피고 있었다.
아이들의 목덜미에도 불 속으로도
눈이 내리고 있었다.
1의 6
모과(木瓜)나무 그늘로
느린 햇발의 땅거미가 지고 있었다.
지는 석양(夕陽)을 받은
적은 비탈 위
구기자(枸杞子) 몇 알이 올리브빛으로 타고 있었다.
금붕어의 지느러미를 쉬게 하는
어항(魚缸)에는 크낙한 바다가
저물고 있었다.
Vou 하고 뱃고동이 두 번 울었다.
모과(木瓜)나무 그늘로
느린 햇발의 땅거미가 지고 있었다.
장난감 분수(噴水)의 물보라가
솟았다간
하얗게 쓰러지곤 하였다.
1의 7
새장에는 새똥 냄새도 오히려 향긋한
저녁이 오고 있었다.
잡혀온 산새의 눈은
꿈을 꾸고 있었다.
눈 속에서 눈을 먹고 겨울에 익는 열매
붉은 열매,
봄은 한 잎 두 잎 벚꽃이 지고 있었다.
입에 바람개비를 물고 한 아이가
비 개인 해안통(海岸通)을 달리고 있었다.
한 계집아이는 고운 목소리로
산토끼 토끼야를 부르면서
잡목림(雜木林) 너머 보리밭 위에 깔린
노을 속으로 사라지고 있었다.
거짓말처럼 사라지고 있었다.
1의 8
내 손바닥에 고인 바다,
그때의 어리디 어린 바다는 밤이었다.
새끼 무수리가 처음의 깃을 치고 있었다.
봄이 가고 여름이 오는 동안
바다는 많이 자라서
허리까지 가슴까지 내 살을 적시고
내 살에 테 굵은 얼룩을 지우곤 하였다.
바다에 젖은
바다의 새하얀 모래톱을 달릴 때
즐겁고도 슬픈 빛나는 노래를
나는 혼자서만 부르고 있었다.
여름이 다한 어느 날이던가 나는
커다란 해바라기가 한 송이
다 자란 바다의 가장 살찐 곳에 떨어져
점점점 바다를 덮는 것을 보았다.
1의 9
팔다리가 뽑힌 게가 한 마리
길게 파인 수렁을 가고 있었다.
길게 파인 수렁의 개나리꽃 그늘을
우스꽝스런 몸짓으로 가고 있었다.
등에 업힌 듯한 그
두 개의 눈이 한없이 무겁게만 보였다.
1의 10
은종이의 천사(天使)는
울고 있었다.
누가 코밑수염을 달아 주었기 때문이다.
제가 우는 눈물의 무게로
한쪽 어깨가 조금 기울고 있었다.
조금 기운 천사(天使)의
어깨 너머로
얼룩암소가 아이를 낳고 있었다.
아이를 낳으면서
얼룩암소도 새벽까지 울고 있었다.
그해 겨울은 눈이
그 언저리에만 오고 있었다.
1의 11
울지 말자,
산다화(山茶花)가 바다로 지고 있었다.
꽃잎 하나로 바다는 가리워지고
바다는 비로소
밝은 날의 제 살을 드러내고 있었다.
발가벗은 바다를 바라보면
겨울도 아니고 봄도 아닌
설청(雪晴)의 하늘 깊이
울지 말자,
산다화(山茶花)가 바다로 지고 있었다.
1의 12
겨울이 다 가도록 운동장(運動場)의
짧고 실한 장의자(長椅子)의 다리가 흔들리고 있었다.
겨울이 다 가도록
아이들의 목덜미는 모두
눈에 덮인 가파른 비탈이었다.
산토끼의 바보,
무르팍에 피를 조금 흘리고 그때
너는 거짓말처럼 죽어 있었다.
봄이 와서
바람은 또 한 번 한려수도(閑麗水道)에서 불어오고
겨울에 죽은 네 무르팍의 피를
바다가 씻어 주고 있었다.
산토끼의 바보,
너는 죽어 바다로 가서
밝은 날 햇살 퍼지는
내 조그마한 눈웃음이 되고 있었다.
1의 13
봄은 가고
그득히 비어 있던 풀밭 위 여름,
네 잎 토끼풀 하나,
상수리나무 잎들의
바다가 조금씩 채우고 있었다.
언제나 거기서부터 먼저
느린 햇발의 땅거미가 지고 있었다.
탱자나무 울이 있었고
탱자나무 가시에 찔린
서(西)녘 하늘이 내 옆구리에
아프디아픈 새발톱의 피를 흘리고 있었다.
- <타령조(打令調) 기타(其他)>(문화출판사.1969) -
【해설】
김춘수(金春洙)는 1969년 4월 [현대시학]에 발표를 시작한 이후 1970년 11월에 걸쳐 연작장시(連作長詩) <처용단장>을 발표하였다.
시인 김춘수를 제2의 이상(李箱)이라고 일컫기도 한다. 가장 첨단적인 현대시의 기법을 구사하여 무의식 세계의 이미지를 구상화함으로써 우리 현대시의 진폭을 새로이 개척, 확대했다는 점에서 일리 있는 평가이다. 그는 비유적 이미지를 버리고, 이미지를 위한 이미지로써 일종의 시의 순수한 상태 곧 무의미의 시, 절대시를 이룩하려 시도했다.
이 시는 어떤 주제 의식이나 특정한 의미를 내포하지 않고, 오직 심상만을 제시하고자 감각적인 언어들을 동원하고 있다.
【개관】
▶갈래 : 자유시, 서정시, 주지시
▶성격 : 이미지즘적, 회상적
▶운율 : 내재율
▶어조 : 과거의 인상을 서술하는 어조, 감정을 절제하는 분위기.
▶제재 : 남쪽 바다에 대한 추억
▶주제 : 3월의 남쪽 바다에 대한 추억의 심상화
【감상】
이 시는 고대 설화 속 인물인 '처용'을 제목으로 빌어왔음에도 불구하고 '처용'에 대한 구체적 언급이 없는 대신, 암울하면서도 몽환(夢幻)에 가득 찬 시인의 어린 시절이 깊숙이 자리잡고 있다고 알려져 있는 작품이다.
이 시는 어떤 특정한 의미나 주제 의식을 시행에 담고 있는 것이 아니라, '3월의 어느 남쪽 바다에 내리는 눈'을 보고 느낀 인상을 감각적인 언어들의 자유로운 선택과 연결로써 이미지화하였다. 흔히 김춘수의 시를 '무의미의 시'라 하는데, 그것은 바로 그의 시가 심상(心象)만을 제시하는 서술적 이미지에 초점을 두고 있기 때문이다. 이 작품도 그와 같이 시의 내면에 어떤 관념이나 사상을 내포하고 있는 것이 아니라, 다만 이미지만을 제시하고 있을 뿐이다. 그러므로 개별 시행들 속에서 어떤 특정한 관점을 추출하여 의미화하려고 하면 이 작품은 더욱 난해해질 수밖에 없다.
이 시는 서술적 이미지에 의한 것이기 때문에 시의 내면에는 어떤 관념을 포함하고 있지 않다. 다만, 이미지만을 제시하고 있을 뿐이다. 이 시의 경우, 이미지를 이루는 주된 사물은 '삼월의 눈', '라일락 새 순', '산다화', '겨울 털옷', '남쪽 바다', '물개의 수컷', '그 울음소리', '수렁', '보얀 목덜미' 등이 있다. 이들이 의미의 고리에 의해 연결되어 있는 것이 아니고, 언어적 감각으로 어울려 추억(또는 무의식) 속에 아련히 잠재해 있는 '눈 내리는 삼월의 남쪽 바다'의 정경이 인상적으로 형상화되고 있다.
이를테면, '물개의 수컷이 우는 소리'에서 '물개'는 '바다'와 어울리는 이미지이고, '수컷'은 '바다'에 더욱 싱싱한 이미지를 부여했다. '우는 소리'는 슬픔이나 비애의 감정을 지니고 있기보다는 다만 가슴에 부딪치는 울림, 곧 심상으로 나타나 있을 뿐이다.
이 시의 첫 이미지는 3월에도 눈이 오는 남쪽 바다. 라일락의 새순을 적시고 피어나는 산다화 - 동백을 적시고 내리는 눈이다. 그 바다는 겨울 털옷 속에서 어떤 짐승처럼 눈을 뜨고 있다. 두 번째 이미지는 그 날 밤 잠들기 전 현실과 꿈의 경계선에서 듣는 환청이다. 물개의 수컷이 우는 소리를 '나'는 듣는다. 처용의 리비도가 울부짖는 소리. 그의 귀소본능이 울부짖는 소리를 듣는다. 세 번째는 처음과 비슷하다. 산다화의 보얀 목덜미를 큼직한 눈송이가 적시고 있다는 여성적 이미지는 시 전체를 현재진행형으로 둥글게 감싸 안는 효과를 지닌다.
처용의 바다를 향한 인식의 이미지는 결국 삶의 주변을 맴도는 고독의 냄새를 풍기고 있다. 그리고 마침내 '나'는 소멸된다.
비유적 이미지는 관념의 수단이라고 생각한 김춘수 시인은 이미지를 서술적으로 쓰는 훈련을 계속해 왔다고 고백한다.
이 시는 서술적 이미지에 의한 것이기 때문에 시의 내면에는 어떤 관념을 포함하고 있지 않다. 다만, 이미지만을 제시하고 있을 뿐이다. 관념이 배제되었다고 해서 <시문학파>의 순수시를 생각해서도 안 되고, 이미지를 중시한다고 해서 김광균이나 김기림의 주지시를 연상해서도 안 된다.
김춘수의 이른바 '무의미의 시', '존재의 시'는 언어와 언어가 부딪쳐 유발하는 미묘한 감각적 심상을 위주로 하고 있으면서도 객관적 형태의 사실적 묘사를 위주로 하지 않음으로써 등장하는 사물들 간의 관계가 서로 먼 거리를 가진다. 따라서 개별 시행 속에서 관념이나 의미를 추출하는 데 익숙한 독자에게는 난해할 수밖에 없을 것이다.
이 시의 경우, 이미지를 이루는 주된 사물은 ① 삼월의 눈, ② 라일락 새 순, ③ 산다화, ④ 겨울 털옷, ⑤ 남쪽 바다, ⑥ 물개의 수컷, ⑦ 그 울음소리, ⑧ 수렁, ⑨ 보얀 목덜미 등이 있다. 이들이 의미의 고리에 의해 연결되어 있는 것이 아니고, 언어적 감각으로 어울려 추억(또는 무의식) 속에 아련히 잠재해 있는 '눈 내리는 삼월의 남쪽 바다'의 정경이 인상적으로 형상화되고 있다.
이를테면, '물개의 수컷이 우는 소리'에서 '물개'는 '바다'와 어울리는 이미지이고, '수컷'은 '바다'가 주는 'ㅂ'음의 언어 감각과 '수컷'의 'ㅋ'음이 주는 언어 감각을 어울리게 하여 '바다'에 더욱 싱싱한 이미지를 부여했다. '우는 소리'는 슬픔이나 비애의 감정을 지니고 있기보다는 다만 가슴에 부딪치는 울림, 곧 심상으로 나타나 있을 뿐이다.
[출처] 김춘수 : 시 <처용단장(處容斷章)> |작성자 재봉틀
'살다보니 이런일이 > 시(詩)를 위하여'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가와 까 (0) | 2019.10.28 |
---|---|
이상 오감도 전문과 분석(퍼온글) (0) | 2019.04.15 |
[스크랩] 글쓰기의 기초 요약 (0) | 2017.09.01 |
한국어 (0) | 2017.07.12 |
詩作을 위한 열가지 방법 / 김철진 (시인) (0) | 2017.05.3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