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1. 5. 19. 09:00ㆍ살다보니 이런일이/시(詩)를 위하여
Re:(*시조창작에 등장 되는 용어) 2.수사법(비유) |
---|
- 글쓴이: 벽송
- 조회수 : 0
- 09.05.09 09:19
수사법상 비유. ▷비유(比喩) 수사법의 한 가지. 표현하려는 대상을 다른 대상에 빗대어 나타내는 표현 방법 을 통틀어 이르는 말. (직유법·은유법·풍유법·제유법·의인법 따위가 이에 딸림) ▷제유(提喩) 사물의 한 부분으로 전체를, 또는 한 말로 그와 관련되는 모든 것을 나타내는 표현 방법. 예) ‘빵’이 식량을, ‘감투’가 벼슬을 나타내는 따위.] (참고)대유법·환유법. ▷직유(直喩) 원 관념과 보조 관념을 '같이', '처럼', '듯이', '양' 등의 매개 적인 결합 어를 사용하여 연결시키는 직접적 비유법이다. 예) 내 누님같이 생긴 꽃이여. ▷은유(隱喩) 매개 어가 사용되지 않고 'A는 B이다.'라는 형식으로 표현되는 비유법이다. 즉 원 관념이 보조 관념 속에 내포되는 것이다. 예) 겨울은 강철로 된 무지갠가 보다. ▷의인(擬人) 사람이 아닌 사물 또는 관념에 사람의 속성을 부여하여 인격적 존재로 나타내 는 비유법이다. 예) 둥그런 하늘을 이고 응얼거리는 바다 ▷활유(活喩) 생물이 아닌 것에 생물의 속성을 부여하는 비유법이다. 예) 훨훨훨 깃을 치는 청산(靑山) ▷풍유(諷喩) 원관념은 뒤에 숨고 보조 관념만 겉으로 나타나 있어 본뜻을 독자가 짐작하도록 하는 암시작 풍자적인 비유법이다. 예) 우물가서 숭늉 찾는다 ▷대유(代喩) 개념의 한 부분이나 한 속성으로 전체를 대신해서 나타내는 비유법으로 제유와 환유로 나뉜다. ▷제유(提喩) 나타내고자 하는 대상의 일부로서 그 대상 전체를 표현하는 비유법이다. 예) 지금은 남의 땅-빼앗긴 들에도 봄은 오는가 ('빼앗긴 들'은 '국권을 상실한 조국'의 제유이다.) ▷환유(換喩) 나타내고자 하는 대상을 가리키기 위해 그것의 속성을 지닌 사물을 끌어들이 는 비유법이다. 예) 흰옷이 보고 싶어요('흰 옷'은 '우리 민족'의 환유이다.) .............................................................................................................. 위의 글에 대해 보충 참고사항을 옮겼음......옮긴자...
|
'살다보니 이런일이 > 시(詩)를 위하여' 카테고리의 다른 글
현대시조의 정체 (0) | 2012.01.27 |
---|---|
시조는 왜 3.4조인가? (0) | 2012.01.27 |
[스크랩] 띄어쓰기 입체 해설 (0) | 2010.10.15 |
퇴고를 어떻게 할 것인가/윤금초 (0) | 2010.05.01 |
[스크랩] 시낭송기법연구 :출처 :손소운 (필명 孫素雲)의 사색의 뒤안길) (0) | 2010.04.1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