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크랩] <구별해서 써야 하는 어휘 >
2008. 2. 28. 12:50ㆍ살다보니 이런일이/시(詩)를 위하여
<구별해서 써야 하는 어휘 >
가늠하다 ; 목표에 맞고 안맞음을 헤아리는 표준
가름하다 ; 함께 하던 일을 가르다, 구별하다
가르치다 ; 글을 가르치다
가리키다 ; 방향을 가리키다
가진 ; 가진 물건이 없다
갖은 ; 갖은 고생을 다했다
갑절 ; 수량의 두 배
곱절 ; 수량의 세 배 이상
거름 ; 풀을 썩인 거름
걸음 ; 빠른 걸음
거치다 ; 울산을 거쳐 왔다
걷히다 ; 외상값이 잘 걷힌다
너머 ; 산 너머에 있는 마을
넘어 ; 산을 넘어 들로 나아갔다
너비 ; 폭
넓이 ; 넓은 정도, 면적
늘이다 ; 고무줄을 당겨 늘이다
늘리다 ; 집터를 늘리다
돋우다 : 위로 높아지게 하다. "심지를 돋우다".
돋구다 : 더 높게 하다. "안경의 도수를 돋구다".
다르다 ; 이질적이다. "같다"의 반대
틀리다 ; 잘못이다. "옳다"의 반대
다리다 ; 옷을 다리다
달인다 ; 약을 달인다
던/던지 ; 과거
든/든지 ; 선택
돼 ; "되어"의 준말
되 ; "돼"로 쓰는 말의 나머지에
두껍다 ; 구체적 사물
두텁다 ; 추상적 상태
드러내다 ; 겉으로 드러나게 하다
들어 내다 ; 물건을 들어서 밖으로 내놓다
-(으)러 ; 목적, 뒤에 주로 "가다, 오다, 떠나다"가 쓰임
-(으)려 ; 의도, 뒤에 주로 "하다"가 쓰임
-(으)로서 ; 자격, 신분
-(으)로써 ; 도구, 수단 "가지고"라는 뜻
-마는/만 ; 뒤집음
-만은 ; 단정, only
바라다 ; 희망하다
바래다 ; 색깔이 퇴색하다
바치다 ; 나라를 위해 목숨을 바치다
받치다 ; 책받침을 받치다
받히다 ; 쇠뿔에 받히다
밭치다 ; 술을 체에 밭치다
반드시 ; 꼭
반듯이 ; 반듯하게
벌이다 ; 일을 베풀어 놓다
벌리다 ; 둘 사이를 넓히다
부수다 ; 흙덩이를 잘게 부수다
부시다 ; 그릇을 깨끗이 씻다, 눈이 어리어리하다
부치다 ; 편지를 부치다, 힘이 부치다
붙이다 ; 우표를 붙이다, 불을 붙이다
빌다 : 남의 물건을 공짜로 달라고 호소하여 얻다.
빌리다 : 일정한 형식이나 이론, 또는 남의 말이나 글 따위를 취하여 따르다
삭이다 ; 먹은 것을 삭게 하다
삭히다 ; 발효시키다
살지다 : 형용사. 몸에 살이 많고 튼실하다.
살찌다 : 동사. 몸에 살이 많아지다.
시간 ; 어느 때부터 어느 때까지의 "사이"
시각 ; 시간대 위의 한 "점"
안 ; "아니"의 준말
않 ; "아니하"의 준말
엉기다 :액체 모양이던 것이 굳어지다.
엉키다 : 실이나 줄,문제 따위가 풀기 어려울 정도로 서로 얽히다
-오 ; 종결 어미
-요 ; 연결 어미, "해요"체에 붙는 높임 조사
옳다 ; 이 일은 옳지 않다
올바르다 ; 곧고 바르다
웃- ; 위아래의 구분이 없을 때, 웃어른, 웃돈 등
윗- ; 위아래로 구분할 때, 윗니
웬 ; 어찌, 무슨, 어떤, what
왠 ; 왜, why
일절 ; 부사, "아주, 도무지"의 뜻
일체 ; 모든 (것), "통틀어, 모두"라는 뜻
잘못하다 ; 실수하다
잘 못하다 ; 잘하지 못하다
-장이 ; 기술자에게 붙인다, 미장이, 유기장이 등
-쟁이 ; 성격, 버릇 따위에 붙인다
저리다 ; 다친 다리가 저린다
절이다 ; 김장 배추를 절인다
조리다 ; 생선을 조리다(통조림)
졸이다 ; 마음을 졸인다
주리다 ; 여러 날을 (굶)주렸다
줄이다 ; 비용을 줄였다
지그시 ; 슬그머니
지긋이 ; 나이가 지긋한 어른
째 ; 덩어리로, 그대로, 명사 뒤에 쓰임(통째로)
채 ; 어떤 상태가 계속된 대로 그냥
하므로 ; 하기 때문에, 이유나 원인
함으로 ; 해 가지고, 수단이나 방법
가늠하다 ; 목표에 맞고 안맞음을 헤아리는 표준
가름하다 ; 함께 하던 일을 가르다, 구별하다
가르치다 ; 글을 가르치다
가리키다 ; 방향을 가리키다
가진 ; 가진 물건이 없다
갖은 ; 갖은 고생을 다했다
갑절 ; 수량의 두 배
곱절 ; 수량의 세 배 이상
거름 ; 풀을 썩인 거름
걸음 ; 빠른 걸음
거치다 ; 울산을 거쳐 왔다
걷히다 ; 외상값이 잘 걷힌다
너머 ; 산 너머에 있는 마을
넘어 ; 산을 넘어 들로 나아갔다
너비 ; 폭
넓이 ; 넓은 정도, 면적
늘이다 ; 고무줄을 당겨 늘이다
늘리다 ; 집터를 늘리다
돋우다 : 위로 높아지게 하다. "심지를 돋우다".
돋구다 : 더 높게 하다. "안경의 도수를 돋구다".
다르다 ; 이질적이다. "같다"의 반대
틀리다 ; 잘못이다. "옳다"의 반대
다리다 ; 옷을 다리다
달인다 ; 약을 달인다
던/던지 ; 과거
든/든지 ; 선택
돼 ; "되어"의 준말
되 ; "돼"로 쓰는 말의 나머지에
두껍다 ; 구체적 사물
두텁다 ; 추상적 상태
드러내다 ; 겉으로 드러나게 하다
들어 내다 ; 물건을 들어서 밖으로 내놓다
-(으)러 ; 목적, 뒤에 주로 "가다, 오다, 떠나다"가 쓰임
-(으)려 ; 의도, 뒤에 주로 "하다"가 쓰임
-(으)로서 ; 자격, 신분
-(으)로써 ; 도구, 수단 "가지고"라는 뜻
-마는/만 ; 뒤집음
-만은 ; 단정, only
바라다 ; 희망하다
바래다 ; 색깔이 퇴색하다
바치다 ; 나라를 위해 목숨을 바치다
받치다 ; 책받침을 받치다
받히다 ; 쇠뿔에 받히다
밭치다 ; 술을 체에 밭치다
반드시 ; 꼭
반듯이 ; 반듯하게
벌이다 ; 일을 베풀어 놓다
벌리다 ; 둘 사이를 넓히다
부수다 ; 흙덩이를 잘게 부수다
부시다 ; 그릇을 깨끗이 씻다, 눈이 어리어리하다
부치다 ; 편지를 부치다, 힘이 부치다
붙이다 ; 우표를 붙이다, 불을 붙이다
빌다 : 남의 물건을 공짜로 달라고 호소하여 얻다.
빌리다 : 일정한 형식이나 이론, 또는 남의 말이나 글 따위를 취하여 따르다
삭이다 ; 먹은 것을 삭게 하다
삭히다 ; 발효시키다
살지다 : 형용사. 몸에 살이 많고 튼실하다.
살찌다 : 동사. 몸에 살이 많아지다.
시간 ; 어느 때부터 어느 때까지의 "사이"
시각 ; 시간대 위의 한 "점"
안 ; "아니"의 준말
않 ; "아니하"의 준말
엉기다 :액체 모양이던 것이 굳어지다.
엉키다 : 실이나 줄,문제 따위가 풀기 어려울 정도로 서로 얽히다
-오 ; 종결 어미
-요 ; 연결 어미, "해요"체에 붙는 높임 조사
옳다 ; 이 일은 옳지 않다
올바르다 ; 곧고 바르다
웃- ; 위아래의 구분이 없을 때, 웃어른, 웃돈 등
윗- ; 위아래로 구분할 때, 윗니
웬 ; 어찌, 무슨, 어떤, what
왠 ; 왜, why
일절 ; 부사, "아주, 도무지"의 뜻
일체 ; 모든 (것), "통틀어, 모두"라는 뜻
잘못하다 ; 실수하다
잘 못하다 ; 잘하지 못하다
-장이 ; 기술자에게 붙인다, 미장이, 유기장이 등
-쟁이 ; 성격, 버릇 따위에 붙인다
저리다 ; 다친 다리가 저린다
절이다 ; 김장 배추를 절인다
조리다 ; 생선을 조리다(통조림)
졸이다 ; 마음을 졸인다
주리다 ; 여러 날을 (굶)주렸다
줄이다 ; 비용을 줄였다
지그시 ; 슬그머니
지긋이 ; 나이가 지긋한 어른
째 ; 덩어리로, 그대로, 명사 뒤에 쓰임(통째로)
채 ; 어떤 상태가 계속된 대로 그냥
하므로 ; 하기 때문에, 이유나 원인
함으로 ; 해 가지고, 수단이나 방법
출처 : 월간 한비문학
글쓴이 : 麗傘김광련 원글보기
메모 :
'살다보니 이런일이 > 시(詩)를 위하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시에 대한 몇가지 편견/이성복 (0) | 2008.02.28 |
---|---|
[스크랩] 시어에 쓰면 좋은 우리말 (0) | 2008.02.28 |
[스크랩] 시를 잘 쓰는 16가지 방법 / 송수권 (0) | 2008.02.28 |
[스크랩] 띄어쓰기는 의미 전달이 목적 (0) | 2008.02.28 |
[스크랩] 띄어쓰기(참고자료) /펌 (0) | 2008.02.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