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0. 1. 26. 08:46ㆍ살다보니 이런일이/시(詩)를 위하여
- 현진건의 적도 중- 병일은 곰비임비 술을 들이켰다. 곰비임비 : 물건이 거듭 쌓이거나 일이 계속 일어남을 나타내는 말. - 골막하다 : 담긴 것이 가득 차지 아니하고 조금 모자란 듯 하다. - 박경리의 토지 중 – 살림에 무관심한 나태한 생활은 그를 겉늙게 했다. 겉늙다 : 나이보다 더 늙은 티가 나다. - 간대로 : 그리 쉽사리 - 각성바지 : 성이 각각 다른 사람 - 오유권의 대지의 학대 중 – 가뭇없는 집터에서 수난녀는 눈물을 쌌다. 빈 서까래, 옹기그릇 하나 안 남기고 깡그리 떠내려간 것이다. 가뭇없다 : 보이던 것이 - 가년스럽다 : 보기에 가난하고 어려운 데가 있다. - 희나리 : 채 마르지 아니한 장작 - 회두리 : 여럿이 있는 중에서 맨 끝이나 맨 나중에 돌아오는 차례 - 해거름 : 해가 서쪽으로 넘어가는 일, 또는 그런 때 - 함초롬하다 : 젖거나 서려 있는 모양이나 상태가 가지런하고 차분하다. - 틈서리 : 틈이 난 부분의 가장자리 - 현진건의 적도 중 - 남의 머리를 죄 쥐어뜯고 어떻게 찜부럭을 내는지 옷이 죄 흘러내리고… 찜부럭 : 몸이나 마음이 괴로울 때 걸핏하면 짜증을 내는 짓. - 박경리의 토지 중 - 감주를 만들려고 막 쪄서 내놓은 지에밥을 슬쩍 집어서 손바닥을 호호 불어 가며 뭉쳐서 아이에게 주기도 하고… 지에밥 : 찹쌀이나 멥쌀을 물에 불려서 시루에 찐밥. - 조막손 : 손가락이 없거나 오그라져서 펴지 못하는 손. - 의뭉스럽다 : 보기에 겉으로는 어리석어 보이나 속으로는 엉큼한 데가 있다. - 운두 : 그릇이나 신 따위의 둘레나 둘레의 높이 - 에멜무지로 : 결과를 바라지 아니하고 헛일하는 셈 치고 시험 삼아 하는 모양 - 엄지머리총각 : 평생을 총각으로 지내는 사람 - 어둑발 : 사물을 뚜렷이 분간할 수 없을 만큼 어두운 빛살. - 나도향의 뉘우치려 할 때 중 - 기운이 준데다가 술이 모두 깨어서 다시 덤빌 생각도 감히 나지 않았으나 그래도 앙센 마음은 남아서 창선의 눈을 마주 들여다보며, 어디 때려 보아라. 앙세다 : 몸은 약하여 보여도 힘이 세고 다부지다. - 안침 : 안쪽으로 쑥 들어간 곳. - 시망스럽다 : 몹시 짓궂은 데가 있다. - 설레발 : 몹시 서두르며 부산하게 구는 행동 - 새꽤기 : 갈대, 띠, 억새, 짚 따위의 껍질을 벗긴 줄기. - 바지랑대 : 빨랫줄을 받치는 장대. - 민값 : 물건을 받기 전에 먼저 주는 물건 값.
kbs-tv 월요일 저녘 7시 30분 방송되는 <우리말 겨루기>에 이따금 출제되는 <문학작품속의 아름다운 우리말>이 어디 한꺼번에 모아 둔 게 없나 찾다가 어디선가 옮겨보았습니다. |
'살다보니 이런일이 > 시(詩)를 위하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시낭송기법연구 :출처 :손소운 (필명 孫素雲)의 사색의 뒤안길) (0) | 2010.04.16 |
---|---|
[스크랩] 탈고 요령 (0) | 2010.03.23 |
김기택시인의 시와 삶의 이야기(펌) (0) | 2009.11.18 |
[스크랩] 새 한글 맞춤법 (0) | 2009.11.06 |
한글은 어려워(구시렁 구시렁) (0) | 2009.11.0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