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크랩] 조선 명기(名技)들의 시(詩)

2013. 12. 10. 11:40아름다운 세상(펌)/고운시

 

 

 

 

 


조 선 名 技 들 의    詩


 

        이미지를 클릭하면 원본을 보실 수 있습니다.

그대에게


봄 오고 그댄 오지 않으니

바라보아도 바라보아도 덧없는 마음

들여다 보는 거울엔 먼지가 끼어

거문고 가락만 달아래 흐르네

       부안기생 매창

이미지를 클릭하면 원본을 보실 수 있습니다.

 

취하신 님께


취하신님 사정없이 날 끌어단

끝내는 비단적삼 찢어놓았지

적삼 하날 아껴서 그러는게 아니어

맷힌정 끊어질까 두러워서그렇지

부안기생 매창

이미지를 클릭하면 원본을 보실 수 있습니다.

말위에서 시를 읋는다


성천 길 위에 말 멈추니

꽃지는 봄날 두견새 시름일세

물길은 평양으로 통하고

땅은 강선루에 잇닿았네

성천기생 채소염

이미지를 클릭하면 원본을 보실 수 있습니다.

상사몽


꿈길밖에 길이없어 꿈길로가니

그님은 나를 찾아 길 떠나셨네

이뒤엘랑 밤마다 어긋나는 꿈

같이 떠나 노중에서 만나기를 지고

송도기생 황진이


 相思相見只憑夢 (상사상견지빙몽) 그리워라, 만날 길은 꿈길밖에 없는데

          訪歡時歡訪 (농방환시환방농) 내가 님 찾아 떠났을 때 님은 나를 찾아왔네

          願使遙遙他夜夢 (원사요요타야몽) 바라거니, 언제일까 다음날 밤 꿈에는

          一時同作路中逢 (일시동작로중봉) 같이 떠나 오가는 길에서 만나기를

이미지를 클릭하면 원본을 보실 수 있습니다.

산은 옛산이 로되 물은 옛물이 아니로다

주야(晝夜)에 흐르그든 옛물이 있을소냐

인걸(人傑)도 물과같도다

가고 아니 오노 매라

송도 기생 황진이

이미지를 클릭하면 원본을 보실 수 있습니다.

어져 내일이야 그릴줄 모르던가

이시라 하더면 가랴마는 제구태여

보내고 그리는 정은 나도 몰라 하노라

송도 기생 황진이


이미지를 클릭하면 원본을 보실 수 있습니다.

 

내 사랑 남 주지 말고 남의 사랑 탐치마소

우리 두사랑에 잡사랑 행여 섞일세라

아마도 우리사랑은 류가 없는가 하노라

일생에 이사랑 가지고 괴어 살려 하노라

송도 기생 황진이

이미지를 클릭하면 원본을 보실 수 있습니다.

먼곳에 있는 님에게 부치다

헤어진뒤 (雪山)설산 막혀 아득한 저길

꿈속에서나 님곁에서 웃어봅니다

깨고나면 베겟머리 그림자도 볼수없어

옆으로 몸돌리면 등잔불도 쓸쓸해요

진주기생 계향

이미지를 클릭하면 원본을 보실 수 있습니다.

죽어서 잊어야 하랴 살아서 잊어야 하랴

죽어 잊기도 어렵고 살아그리기도 어려워라

저 님아 한 말만 하소서 사생 결단 하리라

평양기생 매화

이미지를 클릭하면 원본을 보실 수 있습니다.

매화 옛 동절에 봄철이 돌아온다

옛 피든 가지 마다 핌적도 하다마는

춘설(春雪)이 난 분분하니

필동 말동 하여라

         평양기생 매화

 

이미지를 클릭하면 원본을 보실 수 있습니다.

 놀리터의 노래에 목이 쉬어

 

 돌아와서 화가 나 함부로 뜯는

        가야금이여 줄이 끊어지도록 뜯어며

        뜯어며 이밤을 새일거나

        평양기생 장연화

 

 

이미지를 클릭하면 원본을 보실 수 있습니다.

청산리 벽계수야 수이감을 자랑마라

 

일도 창해하면 다시 오기 어려워

       명월이 만공산하니 쉬어간들 어떠리


       송도기생 황진이

 

 



 

     해설


 

벽계수碧溪水:푸른 시냇물, 

 

이것은 종친宗親 벽계수碧溪守를 빗댄 말이다. 



       명월明月:밝은 달인데, 
       황진이의 예명이기도 하다. 

       벽계수`와 아울러 이른바 
       중의법重義法으로 표현한 것이다. 



         靑山裡碧溪水
 
         莫誇易移去 
         到滄海不復還

 

         明月滿空山 
         暫休且去若何 

         청산리 벽계수야 
         청산리(靑山裡) 벽계수(碧溪水)ㅣ야 수이 감을 자랑마라 
         일도창해(一到滄海)하면 도라오기 어려오니  

         명월(明月)이 만공산(滿空山)하니 쉬어간들 엇더리. 

 

 

 

 

 

 

 

 

                                                            

 

출처 : 동영상강좌-우리마을
글쓴이 : 109h 원글보기
메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