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태미
2008. 10. 17. 19:57ㆍ고향 그리움/고향자료(글)모음
[정의] 음식을 담아 나르는 도구. [개설] 산태미는 삼태기의 진도 방언이다. 삼태기는 백과사전을 찾아보면 “흙이나 쓰레기, 거름 따위를 담아 나르는 데 쓰는 기구로 가는 싸리나 대오리, 칡, 짚, 새끼 따위로 만드는데 앞은 벌어지고 뒤는 우긋하며 좌우 양편은 울이 지게 엮어서 만든다.”라고 설명되어 있다. 진도의 산태미는 일반적인 삼태기와 비교했을 때, 모양은 동일하나 그 재료와 용도에서는 다소 차이가 난다. 진도에서 산태미를 만드는 재료는 청등넝쿨이다. 청등은 진도지역의 높은 산에서 자생하고 있다. [생활민속적 관련사항] 진도에서는 가정의례준칙이 보편화되기 전인 1970년대까지만 해도 제사, 혼례, 상례 등 대소사에 곡식이나 음식으로 부조를 하는 풍속이 있었다. 부조를 할 물건을 담을 때 사용되는 것으로는 동구리와 산태미가 있었다. 동구리는 부조를 할 곡식이 많지 않을 때 주로 사용하였고, 가까운 일가 친척집에 부조를 하거나 사돈집에 이바지를 보낼 때처럼 담을 음식물이 많을 때에는 산태미를 사용하였다. 부조와 이바지 풍속이 점차 사라지게 되면서 산태미도 점차 자취를 감추게 되었다. [용도] 진도에서 산태미의 주요한 사용처는 이바지 음식을 담는 것이다. [현황] 현재 진도에서는 산태미를 거의 사용하지 않고 있고, 산태미를 만들 줄 아는 사람도 거의 없어서 전승이 단절될 위기에 처해 있다. 지금은 인위적인 전승이 이루어지고 있는데, 현재 진도문화원에서 노인공예교실 청등넝쿨공예반을 운영하고 있다. [의의와 평가] 청등넝쿨로 만든 진도의 산태미는 빛깔과 질기기가 다른 짚풀로 만든 산태미와는 달라 진도의 특산물로 내세울 만하다. [참고문헌] • 『진도군지』(진도군·전남대학교 호남문화연구소, 2007) | ||||||||||
| ||||||||||
| ||||||||||
![]() | ||||||||||
|
'고향 그리움 > 고향자료(글)모음'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우리나라 해안의 물때표 (0) | 2008.11.12 |
---|---|
골담초 (Caragana sinica) 단상 (0) | 2008.10.30 |
관매도리 유적분포 (0) | 2008.10.17 |
책 "섬 역사문화기행" 천병태 시인외 (0) | 2008.10.11 |
조도 도부장사 이야기 (0) | 2008.09.2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