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크랩] 제비꽃의 종류 1편 22종
여러가지 제비꽃의 정리 그 제1편- 22종- 2편-24종 3편22종 4편18종 5편제비꽃의정체에 대하여..차례로 게재합니다 .
2. 선제비꽃 선제비꽃[학명: Viola raddeana Regel.; 구분: 식용, 약용, 관상용; 용도: 식채(食菜), 보간(補肝), 보익(補益), 발육촉진(發育促進), 해독(解毒), 태독(胎毒), 고민(苦憫), 화훼(花卉); 성분: 분석자료없음; 독성: 없슴; 분포지: 중부산지, 북부산지, 혼지(混地). 선제비꽃은 형태가 다른 것들과 확연히 구별이 되지만 보기 힘든 식물이라 올려 많은 분들에게 콩제비꽃, 반달콩제비꽃, 선제비꽃-------> 줄기가 지상에있다...잎의형태로구분한다....
3. 흰털제비꽃 흰털제비꽃[학명: Viola primulifolia L.; 구분: 식용, 약용, 관상용; 용도: 해독(解毒), 태독(胎毒), 중풍(中風), 기침, 설사, 강간(强肝), 식채(食菜), 화훼(花卉); 성분: Methylheptinecarbonate, Violine; 독성: 없슴; 분포지: 중부평야, 중부산지. 잎자루가 긴 편이고 꽃줄기, 잎자루에 짧고흰털이 밀생한다. 아래사진에서 잎자루에 흰털이 밀생한 것이 보인다.
꽃줄기에도 흰털이 밀생
4. 털제비꽃 털제비꽃[학명: Viola phalacrocarpa Max.; 구분: 식용, 약용, 관상용; 용도: 고민(苦憫), 해독(解毒), 태독(胎毒), 중풍(中風), 기침, 설사, 강간(强肝), 보익(補益), 발육촉진(發育促進), 식채(食菜), 화훼(花卉); 성분: Methylheptinecarbonate, Violine; 독성: 없슴; 분포지: 전국 야지. 흰털제비꽃과 비슷하지만 그에비하여 털이 거칠다.
5. 왜제비꽃~ 세모형 달걀형 잎에 가장자리에 톱니가 있고 털은 거의 없으며 꽃줄기가 잎자루보다 길다 꽃잎에 짙은 보라색 줄무늬가 있다.. 외제비꽃)
6. 알록제비꽃 알록제비꽃[학명: Viola variegata Fisch var. chinensis Regel.; 구분: 식용, 관상용, 약용; 용도: 식채(食菜), 화훼(花卉), 해독(解毒), 부인병(婦人病), 고민(苦憫), 태독(胎毒), 하리(下痢), 발육촉진(發育促進), 통경(通經), 보익(補益), 보간(補肝), 해수(咳嗽); 성분: Violine; 독성: 없슴; 분포지: 전국산지 ~ 잎에 줄무늬가 있으며 꽃줄기가 잎보다 길게 자라 끝에서 자주색 꽃이 핀다..
7. 민얼룩제비꽃 민얼룩제비꽃[학명: Viola variegata Fisch var. ircutiana Regel.; 구분: 식용, 관상용, 약용; 용도: 식채(食菜), 화훼(花卉), 해독(解毒), 부인병(婦人病), 고민(苦憫), 태독(胎毒), 하리(下痢), 발육촉진(發育促進), 통경(通經), 보익(補益), 보간(補肝), 해수(咳嗽); 성분: 분석자료없음; 독성: 없슴; 분포지: 중부산지, 북부산지. ~ 알록제비꽃에 속하는데 잎에 얼룩무늬가 없어서 민알록제비꽃이라 한다..
8, 단풍제비꽃 단풍잎제비꽃[학명: Viola albida Palib. var. takahasii Nakai.; 구분: 식용, 약용, 관상용; 용도: 고민(苦憫), 간장기능촉진(肝臟機能促進), 태독(胎毒), 유아발육촉진(幼兒發育促進), 해독(解毒), 감기, 통경(通經), 거풍(去風), 기침, 부인병(婦人病), 최토(催吐), 진해(鎭咳), 식품(食品), 화훼(花卉), 정혈(淨血); 성분: 분석자료 없슴; 독성: 없슴; 분포지: 울릉도, 중부평야, 중부산지.
9.남산제비꽃 ~ 잎모양이 단풍제비꽃과 유사하나 현저하게 가늘다.. 남산제비꽃[학명: Viola chaerophylloides Beck.; 구분: 식용, 약용, 관상용; 용도: 고민(苦憫), 간장기능촉진(肝臟機能促進), 태독(胎毒), 유아발육촉진(幼兒發育促進), 해독(解毒), 감기, 통경(通經), 거풍(去風), 기침, 부인병(婦人病), 최토(催吐), 진해(鎭咳), 식품(食品), 화훼(花卉), 정혈(淨血); 성분: 분석자료 없슴; 독성: 없슴; 분포지: 전국산야지.
10.태백제비꽃(북한어..사향 제비꽃) 태백제비꽃[학명: Viola albida Palib.; 구분: 식용, 약용, 관상용; 용도: 고민(苦憫), 간장기능촉진(肝臟機能促進), 태독(胎毒), 유아발육촉진(幼兒發育促進), 해독(解毒), 감기, 통경(通經), 거풍(去風), 기침, 부인병(婦人病), 최토(催吐), 진해(鎭咳), 식품(食品), 화훼(花卉), 정혈(淨血); 성분: Violine; 독성: 없슴; 분포지: 중부평야산지. ~ 금강제비꽃에 비하여 잎이 큰것이 특징이고 금강제비꽃은 잎이 말린것이 특징적이다(금강산,오대산등 강원도 이북에 자생)
11.잔털제비꽃 잔털제비꽃[학명: Viola phalacrocarpa Max.; 구분: 식용, 약용, 관상용; 용도: 고민(苦憫), 해독(解毒), 태독(胎毒), 중풍(中風), 기침, 설사, 강간(强肝), 보익(補益), 발육촉진(發育促進), 식채(食菜), 화훼(花卉); 성분: Methylheptinecarbonate, Violine; 독성: 없슴; 분포지: 전국 야지. ~ 잎줄기가 없으며 전체에 털이 있다..
12.낚시제비꽃 낚시제비꽃[학명: Viola grypoceras A. Gray.; 구분: 식용, 약용, 관상용; 용도: 식채(食菜), 화훼(花卉), 부인병(婦人病), 해독(解毒), 유아발육촉진(幼兒發育促進), 간장기능촉진(肝臟機能促進), 통경(通經), 기침, 중풍(中風), 고민(苦憫); 성분: Violine; 독성: 없슴; 분포지: 제주도 산야지 ~ 줄기가 낚시줄처럼 뻗어가는 제비꽃 종류로 뿌리나 줄기의 잎겨드랑이에서 꽃줄기가 나오며 엷은 자주색꽃이 핀다..
▶13,애기낚시제비꽃 (var.exilis NAK.): 전체가 작고 잎의 길이가 1-2cm이며 원줄 기가 다소 눕는다.
▶14.흰애기낚시제비꽃 (var.exilis for.albiflora NAK.): 위와 같고 백색꽃이 핀 다.
▶15.흰낚시제비꽃 (for.albiflora MAK.): 기본종 중에서 백색꽃이 피는 것. 흰낚시제비꽃[학명: Viola grypoceras A. Gray for. albiflora Makino.; 구분: 식용, 약용, 관상용; 용도: 식채(食菜), 화훼(花卉), 부인병(婦人病), 해독(解毒), 유아발육촉진(幼兒發育促進), 간장기능촉진(肝臟機能促進), 통경(通經), 기침, 중풍(中風), 고민(苦憫); 성분: Violine; 독성: 없슴; 분포지: 전국산야.
16.흰제비꽃 흰제비꽃[학명: Viola Primulifolia L. var. glabra Nakai.; 구분: 식용, 약용, 관상용; 용도: 고민(苦憫), 해독(解毒), 태독(胎毒), 중풍(中風), 기침, 설사, 강간(强肝), 보익(補益), 발육촉진(發育促進), 식채(食菜), 화훼(花卉); 성분: 분석자료없음; 독성: 없슴; 분포지: 전국산야
17.콩제비꽃 콩제비꽃[학명: Viola verecunda A. Gray.; 구분: 식용, 관상용, 약용; 용도: 식채(食菜), 화훼(花卉), 해독(解毒), 부인병(婦人病), 고민(苦憫), 태독(胎毒), 하리(下痢), 발육촉진(發育促進), 통경(通經), 보익(補益), 보간(補肝), 해수(咳嗽); 성분: Violine; 독성: 없슴; 분포지: 전국산지. ~ 산,들의 습지에 식생하며 흰꽃이 피는데 아래쪽 꽃잎에는 자주색 줄무늬가 선명하다..
18.노랑제비꽃 노랑제비꽃[학명: Viola brevistipulata Becker.; 구분: 식용, 약용, 관상용; 용도: 고민(苦憫), 간장기능촉진(肝臟機能促進), 태독(胎毒), 유아발육촉진(幼兒發育促進), 해독(解毒), 감기, 통경(通經), 거풍(去風), 기침, 부인병(婦人病), 최토(催吐), 진해(鎭咳), 식품(食品), 화훼(花卉), 정혈(淨血); 성분: 분석자료 없슴; 독성: 없슴; 분포지: 모악산, 삼각산. ~ 백두산의 장백제비꽃과 더불어 눈이 부실정도로 노란빛이 아름다운 제비꽃
19.엷은잎제비꽃(Viola blandaeformis Nakai). 얇은잎제비꽃[학명: Viola biandaeformis Nakai.; 구분: 식용, 약용, 관상용; 용도: 고민(苦憫), 간장기능촉진(肝臟機能促進), 태독(胎毒), 유아발육촉진(幼兒發育促進), 해독(解毒), 감기, 통경(通經), 거풍(去風), 기침, 부인병(婦人病), 최토(催吐), 진해(鎭咳), 식품(食品), 화훼(花卉), 정혈(淨血); 성분: 분석자료 없슴; 독성: 없슴; 분포지: 중부산지.
20.청알록제비꽃 청얼룩제비꽃[학명: Viola variegata Fisch var. ircutiana Regel.; 구분: 식용, 관상용, 약용; 용도: 식채(食菜), 화훼(花卉), 해독(解毒), 부인병(婦人病), 고민(苦憫), 태독(胎毒), 하리(下痢), 발육촉진(發育促進), 통경(通經), 보익(補益), 보간(補肝), 해수(咳嗽); 성분: 분석자료없음; 독성: 없슴; 분포지: 중부산지, 북부산지.
21. 미국제비꽃(종지나물)
미국제비꽃으로 불리는 종지나물.
요즘 들판과 야산에는 제비꽃이 한창이다. 그런데 제비꽃 무리 중에 이상하게도 꽃이 크고 줄기도 무성한 제비꽃이 유난히 눈에 많이 띈다. 이것은 종지나물이란 것으로 흔히 미국제비꽃으로도 불린다.
줄기에서 뻗어나온 이파리가 ‘종지’를 닮았다고 해서 종지나물이다.
꽃판에 잔털이 많이 난 종지나물은 어느 새 우리 토종 제비꽃을 몰아내고 상당수의 영역을 차지해버렸다.
이 녀석은 해방 이후 한국전쟁을 전후해 이 땅에 퍼진 것으로 추정되는데, 워낙에 번식력이 강해 지금은 웬만한 들판에서 이 녀석을 만날 수 있으며, 어느 새 우리 토종 제비꽃들을 몰아내고 상당수의 영역을 차지해버렸다.
22.갯제비꽃 갯제비꽃[학명: Viola chaerophylloides Beck. var. maritima Nakai.; 구분: 식용, 약용, 관상용; 용도: 고민(苦憫), 간장기능촉진(肝臟機能促進), 태독(胎毒), 유아발육촉진(幼兒發育促進), 해독(解毒), 감기, 통경(通經), 거풍(去風), 기침, 부인병(婦人病), 최토(催吐), 진해(鎭咳), 식품(食品), 화훼(花卉), 정혈(淨血); 성분: 분석자료 없슴; 독성: 없슴; 분포지: 제주도, 울릉도, 해변지.
출처 : 석문골 무진재 [無盡齋] 글쓴이 : 무진 無盡 원글보기 메모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