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름다운 세상(펌)/고운음악
[스크랩] [조용필을 시인이라 부르자] 킬리만자로의 표범
麗尾박인태행정사
2008. 6. 3. 17:56
먹이를 찾아 산기슭을 어슬렁거리는
하이에나를 본 일이 있는가
짐승의 썩은 고기만을 찾아다니는
산기슭의 하이에나
나는 하이에나가 아니라 표범이고 싶다
산정 높이 올라가 굶어서 얼어죽는
눈 덮인 킬리만자로의 그 표범이고 싶다
자고나면 위대해지고 자고나면 초라해지는
나는 지금 지구의 어두운 모퉁이에서
잠시 쉬고 있다
야망에찬 도시의 그 불빛 어디에도 나는 없다
이 큰 도시의 복판에 이렇듯 철저히
혼자 버려진들 무슨 상관이랴
나보다 더 불행하게 살다간
고호란 사나이도 있었는데...
하이에나를 본 일이 있는가
짐승의 썩은 고기만을 찾아다니는
산기슭의 하이에나
나는 하이에나가 아니라 표범이고 싶다
산정 높이 올라가 굶어서 얼어죽는
눈 덮인 킬리만자로의 그 표범이고 싶다
자고나면 위대해지고 자고나면 초라해지는
나는 지금 지구의 어두운 모퉁이에서
잠시 쉬고 있다
야망에찬 도시의 그 불빛 어디에도 나는 없다
이 큰 도시의 복판에 이렇듯 철저히
혼자 버려진들 무슨 상관이랴
나보다 더 불행하게 살다간
고호란 사나이도 있었는데...
바람처럼 왔다가 이슬처럼 갈 순 없잖아
내가 산 흔적일랑 남겨둬야지
한 줄기 연기처럼 가뭇없이 사라져도
빛나는 불꽃으로 타올라야지
묻지마라 왜냐고 왜 그렇게 높은 곳까지
오르려 애쓰는지 묻지를 마라
고독한 남자의 불타는 영혼을
아는 이 없으면 또 어떠리...
내가 산 흔적일랑 남겨둬야지
한 줄기 연기처럼 가뭇없이 사라져도
빛나는 불꽃으로 타올라야지
묻지마라 왜냐고 왜 그렇게 높은 곳까지
오르려 애쓰는지 묻지를 마라
고독한 남자의 불타는 영혼을
아는 이 없으면 또 어떠리...
살아가는 일이 허전하고 등이 시릴 때
그 것을 위안해 줄 아무것도 없는
보잘 것 없는 세상을
그런 세상을 새삼스레
아름답게 보이게 하는 건
사랑때문이라고
사랑이 사람을 얼마나
고독하게 만드는지
모르고 하는 소리지
사랑만큼 고독해진다는 걸
모르고 하는 소리지
너는 귀뚜라미를 사랑한다고 했다
나도 귀뚜라미를 사랑한다
너는 라일락을 사랑한다고 했다
나도 라일락을 사랑한다
너는 밤을 사랑한다고 했다
나도 밤을 사랑한다
그리고 또 나는 사랑한다
화려하면서도 쓸쓸하고
가득찬 것 같으면서도
텅비어 있는 내 청춘에 건배
그 것을 위안해 줄 아무것도 없는
보잘 것 없는 세상을
그런 세상을 새삼스레
아름답게 보이게 하는 건
사랑때문이라고
사랑이 사람을 얼마나
고독하게 만드는지
모르고 하는 소리지
사랑만큼 고독해진다는 걸
모르고 하는 소리지
너는 귀뚜라미를 사랑한다고 했다
나도 귀뚜라미를 사랑한다
너는 라일락을 사랑한다고 했다
나도 라일락을 사랑한다
너는 밤을 사랑한다고 했다
나도 밤을 사랑한다
그리고 또 나는 사랑한다
화려하면서도 쓸쓸하고
가득찬 것 같으면서도
텅비어 있는 내 청춘에 건배
사랑이 외로운 건 운명을 걸기 때문이지
모든 것을 거니까 외로운거야
사랑도 이상도 모두를 요구하는 것
모두를 건다는 건 외로운거야
사랑이란 이별이 보이는 가슴 아픈 정열
정열의 마지막엔 무엇이 있나
모두를 잃어도 사랑은 후회않는 것
그래야 사랑했다 할 수 있겠지
모든 것을 거니까 외로운거야
사랑도 이상도 모두를 요구하는 것
모두를 건다는 건 외로운거야
사랑이란 이별이 보이는 가슴 아픈 정열
정열의 마지막엔 무엇이 있나
모두를 잃어도 사랑은 후회않는 것
그래야 사랑했다 할 수 있겠지
아무리 깊은 밤일지라도
한 가닥 불빛으로 나는 남으리
메마르고 타버린 땅일지라도
한 줄기 맑은 물소리로 나는 남으리
거센 폭풍우 초목을 휩쓸어도
꺽이지 않는 한 그루 나무되리
내가 지금 이 세상을 살고 있는 것은
21세기가 간절히 나를 원했기 때문이야
한 가닥 불빛으로 나는 남으리
메마르고 타버린 땅일지라도
한 줄기 맑은 물소리로 나는 남으리
거센 폭풍우 초목을 휩쓸어도
꺽이지 않는 한 그루 나무되리
내가 지금 이 세상을 살고 있는 것은
21세기가 간절히 나를 원했기 때문이야
구름인가 눈인가 저 높은 킬리만자로
오늘도 나는 가리 배낭을 메고
산에서 만나는 고독과 악수하며
그대로 산이 된들 또 어떠리.....
============================================== 조용필을 시인이라 부르자==========================================
국민 가수와 반체제 시인이 노래시합을 한 적이 있습니다. '오적'의 시인 김지하가 감옥에서 풀려나 강원도 원주에서 칩거하던 1980년대 초반의 일입니다. '창 밖의 여자' 를 필두로 연달아 히트곡을 몰아쳐 한국대중음악계를 평정한 가수 조용필<사진>이 시인을 찾아왔습니다. 호형호제하던 시인과 가수는 한 술집에서 노래시합을 벌였습니다. 여러 곡을 주고 받은 끝에 노래 '촛불' 가사를 묘하게 비튼 시인 앞에서 가수가 항복했다고 전해집니다. '흐대는 훼 홋불을 히셨나요? 흐대는 훼 홋불을 히셨나요? 연약한 이 마음을 후가 후가 히히려나―!' 오늘도 나는 가리 배낭을 메고
산에서 만나는 고독과 악수하며
그대로 산이 된들 또 어떠리.....
============================================== 조용필을 시인이라 부르자==========================================
올해로 데뷔 40주년을 맞는 조용필은 흔히 '가왕(歌王)'으로 불립니다. 국민학교가 초등학교로 바뀐 요즘 '국민가수'라는 호칭을 본인이 "소름 끼친다"며 싫어하기 때문입니다. 흔히 '가객'(歌客)으로 불리는 이 땅의 시인들이 가장 좋아하는 가수라는 점에서 조용필은 '가왕'으로 불릴 만합니다. 계간 시인세계가 시인들을 대상으로 조사한 인기가요 10곡 리스트에서 조용필만 유일하게 2곡('킬리만자로의 표범'과 '그 겨울의 찻집': 양인자 작사 김희갑 작곡)을 올렸지 않습니까. 시 전문 비평가로 꼽히는 유성호 교수(한양대)는 노래방에서 조용필 메들리로 폭넓은 인기를 누리고 있습니다. '킬리만자로의 표범'은 30대 시인들이 노래방에서 젊음을 과시하기 위해(길이가 무려 6분이나 되기 때문에 그만큼 힘이 듭니다) 경쟁적으로 부르는 명곡입니다.

서양음악(록과 발라드, 댄스뮤직)과 전통음악(민요와 판소리)을 폭넓게 아우른 조용필의 음악세계는 전통과 현대의 조화를 이룬 한국현대시 100년사와 닮았습니다. 근대화·산업화 이후 한국인의 노래인 조용필의 음악은 김소월의 민요시(民謠詩)나 김지하의 담시(譚詩)에 바탕을 두었다고도 할 수 있을 겁니다. 최근 새 집행부를 구성한 한국시인협회(회장 오탁번)가 가수 조용필에게 시인 칭호를 내리면 어떨까요. 한국현대시 100주년 기념 행사의 하나로 조용필 가수 40주년을 축하하는 겁니다.
박해현 기자
출처 : ♣ 이동활의 음악정원 ♣
글쓴이 : 일마레™ 원글보기
메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