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름다운 세상(펌)/고운글(펌)
[스크랩] 육십갑자표
麗尾박인태행정사
2007. 8. 20. 12:30
▒ 육십갑자 | |||||||||||||||||||||||||||||||||||||||||||||||||||||||||||||||||||||||||||||||||||||||||||||||||||||||||||||||||||||||||||||||
고대의 중국과 우리나라의 역법에서 일상적으로 사용되었던 주기이름이다. 1주일의 주기가 7일 이듯 육십갑자의 주기는 60년이다. 일주일의 하루 하루에 월(月), 화(火), 수(水) 등 각기 다른 명칭이 있듯 육십갑자의 한 해도 각기 다른 간지(干支)이름을 가지고 있다. 옛날 우리 조상은 사건이나 행사가 일어난 해(年)를 나타낼 때 이 간지(干支)이름을 사용하여 나타냈던 것이다. 예컨데 우리가 '기미(己未)三一운동', 임진왜란(壬辰倭亂)' 또는 '병자호란(丙子胡亂)'을 말할 때, 기미(己未), 임진(壬辰), 병자(丙子)는 모두 육십갑자표(六十甲子表)에 들어 있는 간지(干支)이름을 딴 것이다. '기미(己未)三一운동'은 기미(己未)년 (서기 1919년)에 일어났던 三一운동을 뜻하고, '임진왜란(壬辰倭亂)'은임진(壬辰)년 (선조(宣祖)25년, 즉 서기 1592년에 일어났던 일본군과의 싸움을 뜻한다. 그리고 병자호란(丙子胡亂)은 병자(丙子)년 인조(仁祖)14년, 즉 서기 1636년에 일어났던 청군(靑軍)과의 싸움을 뜻한다. 이와 같이 우리 조상들은 간지(干支)를 사용하여 사건발생 시기를 나타냈기 때문에 우리가 조상들의 문헌(文獻)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그들이 사용한 육십갑자의구성에 대해 알아보지 않을 수 없다. | |||||||||||||||||||||||||||||||||||||||||||||||||||||||||||||||||||||||||||||||||||||||||||||||||||||||||||||||||||||||||||||||
육십갑자표 | |||||||||||||||||||||||||||||||||||||||||||||||||||||||||||||||||||||||||||||||||||||||||||||||||||||||||||||||||||||||||||||||
| |||||||||||||||||||||||||||||||||||||||||||||||||||||||||||||||||||||||||||||||||||||||||||||||||||||||||||||||||||||||||||||||
|
출처 : 여미리를 아시나요
글쓴이 : 쏙대네식구 원글보기
메모 :